교과목 소개
전산원용기술특론(Advanced Computer Aided Engineering)
공학에서 일어나는 제반 현상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기술을 습득, 이해하고 연구한다.
동력공학특론(Advanced and Power Engineering)
자동차, 항공기, 선박엔진 등의 연소기관을 연구하는 과목으로 열역학, 유체역학, 재료역학, 연소공학, 열전달 및 메카트로닉스 등 다양한 학문이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영역으로 동력공학을 연구함으로써 고성능, 저연비, 저공해 기관은 물론 고안전성의 요구들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센서계측공학특론(Advanced Sensor Measurement Engineering)
자동차 센서 시스템의 정의 및 동작원리와 그 응용분야 등을 다룬다. 특히 자동차에 적용되는 센서들인 크랭크각 포지션 센서 및 속도센서, 스로틀 위치센서, 흡기 온도센서, 써미스터, MAP센서, 노킹센서, 산소센서 등이 자동차의 엔진 전자제어를 위해 적용되어지는 방법 등을 다룬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Microprocessor Applications)
전자엔진제어의 핵심부품인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념과 기본동작, 프로그래밍 언어,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주변 하드웨어의 구성과 상호간의 신호체계 등을 알아보고 그 응용시스템을 구성해 본다.
자동차전자제어특론(Advanced Automotive Electronics and Control)
배기가스 배출의 최소화를 위한 전자엔진제어, 차량성능 매개변수 계측과 탑재된 시스템의 오동작 진단을 위한 계측, 동력전달 계통 제어, 운행제어 등을 위한 센서와 각종 액츄에이터 ECU 간의 신호처리과정 등을 연구한다.
자동차공기역학(Automotive Aerodynamics)
자동차설계 및 제작에 있어서 공기역학의 중요성을 소개하며, 유체역학적 이론을 근거로 주행 중에 발생하게 되는 공기역학적 특성치인 양력(Lift Force), 항력(Drag Force)의 발생원인을 규명한다. 이러한 공기역학적 특성을 자동차의 주행안정성 및 운용경제성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제어, 활용하기 위한 방법론에 관하여 알아본다. 또한 자동차의 객실내부에서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객실내부의 Air-Circulation 및 Ventilation의 문제와 Engine Room 내부에서의 공기순환을 통한 Engine Cooling 문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차량유공압제어(Automotive Fluid Power Control)
자동차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유공압을 이용한 각종 기계장치와 시스템에 관련된 제반 기초이론, 작동원리, 응용분야 등을 이해하고 특성을 파악하게 한다. 최종적으로는 차량에 적용되는 유압회로설계 및 시뮬레이션 S/W를 사용한 유압 시스템 설계에 대하여 연구한다.
점성유체역학특론(Advanced Viscous Fluid Flow)
점성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실제 유체유동 현상 및 열전달 문제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Real Flow Field에서 점성의 영향에 관하여 소개하며, Boundary Layer 영역에서의 유동현상과 Mass Transfer를 통한 Thermal Energy Transfer에 의한 Thermal Boundary Layer Generation에 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유체기계특론(Advanced Fluid Machinery)
펌프, 압축기, 송풍기, 터빈, 수차, 유체전동장치 등 작동유체가 기계적 에너지 전달에 관련되는 기계들의 원리와 이론을 파악하여 유체에너지 전달인 압축과 팽창과정으로 인한 효율과 기능을 분석 연구하며 수송기계설계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연소공학특론(Advanced Combustion Engineering)
현재, 에너지 발생원으로써 원자력, 수력, 풍력 등보다 화석연료(fossil fuel)의 연소에 의해 가장 많은 에너지(70~80%)를 얻고 있다. 화석에너지의 효율 증진 방안, 연소가스 저감 대책 등과 함께 최첨단 연소장치와 연소기술에 관해 연구한다.
에너지변환공학(Energy Conversion Engineering)
대부분의 에너지는 인간이 사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변환되어 이용된다. 각종 에너지 변환의 원리를 배우고 특히 자동차와 연관 있는 전기에너지 변환에 관하여 심층 연구한다.
전산역학특론(Advanced Computer Aided Dynamics)
열유동 현상에 관한 열해석 기법에 관해 배운다. 일반 상용 언어 및 범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열유동 현상에 관한 현상을 배우며 분자동역학법에 관한 해석 방법을 연구한다.
자동차공해특론(Advanced Automotive Environmental Pollution)
자동차에서 배출되어지는 배기가스의 발생원인과 특징, 배출가스 처리장치 및 기술에 관하여 연구한다. 또한 환경연소의 기술동향 및 자동차의 엔진연소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에 관해 연구한다.
파괴역학(Fracture Mechanics)
응력 집중을 해석하고 복소수 함수론을 이용하여, 크랙 부근에서의 응력 해석을 한다. 선형탄성 파괴 이론 및 항복 파괴 역학을 소개하고 파괴 물성치를 구하는 원리를 익힌다.
복합재료역학특론(Advanced Mechanics of Composite Materials)
제품의 경량화를 위해 아주 각광을 받고 있는 신소재인 복합재료는 이방성으로 일반재료인 등방성과는 다른 기계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에 이의 강도해석을 위한 전반적인 메카니즘을 연구한다.
유한요소법입문(Fundamental Finite Element Method)
제반 공학 문제를 전산으로 해결하기 위한 필수 학문으로 역학의 기본지식, 매트릭스와 에너지 원리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작성에 관하여 연구한다.
고등유한요소법(Advanced Finite Element Method)
입문과정을 기반으로 시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제반 구조물의 해석을 통하여 실제 현장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제를 수행, 연구한다.
탄성학특론(Advanced Elasticity)
재료가 하중을 받아 발생하는 역학적 원리를 탄성 한계 내에서 규명하고 연구한다.
소성학특론(Advanced Plasticity)
재료가 하중을 받아 발생하는 역학적 원리를 탄성의 범위를 벗어난 소성 영역에까지의 현상을 규명하고 연구한다.
부품설계공학특론(Advanced Mechanical Design Engineering)
자동차 부품의 역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복잡한 부품 등에 응용하여 설계할 수 있는 고급 기술을 습득하고 연구한다.
수치해석특론(Advanced Numerical Analysis)
수학적, 물리적이고 공학적인 복잡한 미분방정식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해결하는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기술을 습득하고 연구한다.
동력계측공학(Power Measurement Engineering)
엔진의 동력, 동력특성, 연비 및 배출가스를 계측 및 시험을 통해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의 동력부품의 설계와 제작에 필요한 엔지니어링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효율향상, 배출가스 저감과 설계 사양이 주어졌을 때 효율측면과 경제성 측면을 모두 만족하는 고려한 최적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보다 깊이 배양하고자 한다.
에너지공학특론(Advanced and Energy Engineering)
에너지와 재생에너지에 대한 에너지원별로 물리적 원리을 이해하고, 각 재생에너지원(태양열에너지,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지열에너지, 해양에너지, 바이오매스와 연료전지 등)의 변환과정과 개념을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열교환기특론(Advanced and Heat Exchanger Engineering)
선박, 발전, 정유 및 화학공장에서 전열설비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설비 중 핵심설비가 바로 열교환기이다. 열교환기설계 과목은 열역학과 열전달을 기본으로 하여 HTR I(Heat Transfer Research In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설계사양이 주어졌을 때 경제성을 고려한 최적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발전시스템특론(Advanced and Heat Generation)
원자력, 화력, 복합화력 발전시스템의 1차, 2차 계통에서의 열교환기, 복수기, 수분제거기 등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발생, 변환 및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들에 대하여 설계와 제작이 부여 되었을 때 경제성을 고려한 최적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내연기관특론(Advanced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최근 효율 향상과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동력 발생을 위한 구조와 제어장치 등을 열역학적인 측면과 유동해석, 성능 제어와 연계하여 최적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자동차공학특론(Advanced and Automotive Engineering)
친환경자동차, 전기자동차 및 수소연료전지자동차와 같이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자동차는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여 첨단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의 요구에 따라 본 과목은 자동차공학에서 보다 진보된 최신의 작동 메카니즘, 제어방식 및 효율 향상을 위한 구조와 시스템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하고자 한다.
공기조화특론(Advanced and Air Conditioning)
파워플랜트, 자동차 및 건물 내의 공기조화 및 관련 기기에 대한 설명 및 이해, 관계시스템의 냉-난방 부하 선정 및 설계에 관한 기술을 학습하고, 이와 연계해서 최적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전기자동차특론(Advanced Electric Vehicles)
전기에너지로 구동되는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 태양-전기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이해와 설계에 필요한 고급전문지식을 배운다. 전지자동차를 구성하는 배터리, 충전기, BMS, 모터 및 제어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내용과 구성품의 주요 설계요소를 다룬다.
차량동역학특론(Adavanced Vehicle Dynamics)
차량의 주행시에 발생하는 각 구성요소에 작용하는 운동으로부터 발생하는 힘과 역학적인 관계를 다룬다. 이러한 지식으로부터 역학적인 균형, 주행안정성 및 주행성능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능 향상을 위한 주요 설계인자에 관한 고급지식을 배운다.
디지털제어시스템(Digital Control System)
자동차, 기계, 전자장비 등에 사용되는 제어시스템들은 컴퓨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디지털제어기를 이용하고 있다. 디지털제어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신호입력, 데이터처리, 제어신호출력, 시스템응답에 관한 내용을 학습한다.
데이터통계학(Data Statistics)
각종 실험 및 모사(Simulation) 과정으로부터 정확한 분석과 결과를 이끌어 내기 위한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와 분석과정을 배운다. 실험 및 데이터의 수집, 조사 및 분석에 관한 다양한 기법들을 탐구함으로서 과학 전 연구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체역학특론(Advanced Fluid Mechanics)
유체의 유동과 관련된 유체역학적 현상을 실제 유체유동으로 확대하여 연구하기 위한 과정으로 주로 유동의 지배 방정식을 해석하는 학습을 한다.
유체동역학특론(Advanced Fluid Dynamics)
검사체적의 개념, 뉴톤유체의 개념, 유체에 적용되는 기본법칙 등에 대하여 학습하고 확립도니 지배방정식을 포텐셜 유동이나 경계층 유동, 층류 유동이나 난류 유동 등에 적용한다.
실험유체역학특론(Advanced Experiments in Fluid Dynamics)
실험계획, 실험장치 설계, 열 및 유체 해석에 관련된 온도, 압력, 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기의 소개 및 원리, 실험데이터의 처리 및 분석, 오차해석에 대하여 학습한다.
전산유체역학특론(Advanc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수송기계 분야 연구에 널리 이용되는 유한요소법, 격자구성법 등을 열유체 공학에서 나타나는 실전문제 해석을 통해 심도 있게 다룬다. 또한 수강자 개개인의 연구 분야에 맞는 term projects를 수행함으로써 논문연구에 직접 기여하고자 한다.
자동차엔진연소특론(Advanced Automotive Engine Combustion)
일반 연소공학을 습득한 후, 이 연소분야를 자동차엔진에 적용한다. 각 엔진별 연소특성과 배출 오염물질 생성기구, 자동차용 연료의 특성, 자동차연비 개선기술 등에 관하여 연구한다.
열전달특론(Advanced Heat Transfer)
발전설비, 냉동, 공기조화, 전자장치, 건물 등에서 발생하는 열전달의 열적특성에 관한 거시적 관점과 분자동역학을 이용한 분자레벨의 미시적 관점으로 열전달 현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연료공학특론(Advanced Fuel Engineering)
자동차의 주요 연료인 가솔린, 경유, 천연가스, LPG 등에 관한 이해와 화학적 성질을 배우고 새로운 연료 개발 및 응용 이론을 습득한다. 또한 각 연료가 연소특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한다.
열에너지특론(Advanced Thermal Energy)
열에서 비롯한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 및 새로운 열에너지 기술개발과 각종 에너지에 관한 분석 및 기술 개발 등을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연구한다.
기계재료특론(Advanced Mechanical Materials)
탄소강, 합금강, 강의열처리, 주철, 비철합금, 복합재료, 기능재료 등 기계구성 재료의 구조, 성질 및 응용방법에 관하여 익힌다.
생산공학특론(Advanced Production Engineering)
공정의 자동화, 정밀화, 최적화, 생산요소기술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에 필요한 요소를 다룬다.
기계설계학특론(Advanced Engineering Design)
기계를 기능요소에 따라 분석, 해석하고 기계설계의 기본 통칙과 설계론에서 개념구성, 개념설계 등의 기법을 익힌다.
구조해석특론(Advanced Structural Analysis)
구조해석과 관련한 유한요소법의 개요를 배우고, 각종 구조해석과 관련한 효율적인 CAE 기법 적용에 대한 관련 기법을 익힌다.
품질관리특론(Advanced Quality Control)
기계, 자동차, 항공기 부품의 제조 공정에 필요한 품질관리 기법에 관하여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품질관리 기법을 익힌다.
생산자동화특론(Advanced Production Automation)
다품종 소량생산 등의 새로운 생산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유연생산시스템(FMS :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의 개념을 NC공작기계의 특성, CAD/CAM시스템, 로봇, 3차원 좌표측 정기, 무인운반차, 데이터베이스 등의 기법을 익힌다.
CAD특론(Advanced Computer Aided Design)
CAD에 관련된 주요 요소 기술들의 이론, 3D 설계기법, CAD 시스템의 실습 등에 관한 기법을 익힌다.
제어공학특론(Advanced Control Engineering)
동적 시스템의 Fomulation, 제어 시스템의 특성과 Model, Hydrulic 시스템, 제어 시스템의 상태공간모델로의 변환, 제어 시스템의 응답특성, 기본제어법의 응용, 시스템의 안정성 해석 및 설계, NC Machine 및 Vehicle Guidance 시스템에 대한 이론의 응용, Multi-variable Control 시스템의 이론 등을 다룬다.
절삭이론특론(Advanced Mechanical Machining)
2차원 및 3차원 절삭, Chip Formation과 Built-up Edge의 역할, 절삭조건과 절삭저항과의 관계, 공구구명, 공구마모, 절삭온도 및 경제적인 절삭속도를 결정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갖도록 학습한다.
정밀기계특론(Advanced Precision Machine)
전자소자의 특성과 디지털 회로를 이해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기계시스템의 자동화 설계 능력을 갖도록 학습한다.
소성가공특론(Advanced Plasticity Engineering)
탄성 영역을 벗어난 소성범위에서 고체의 역할을 취급하는 학문으로서, 탄성학과 함께 재료강도의 연구, 기계 또는 구조물의 설계에 기본이 되며 공업면에서 현대적 생산방식에 기반이 되는 소성가공의 기술을 갖도록 학습한다.
금형설계특론(Advanced Die Design)
프레스, 소성가공, 사출성형 등 제조공정의 전반에 걸쳐 생산에 요구되는 정밀 금형을 설계하는데 요구되는 설계 Know-How를 중심으로 이해하고 최적설계 능력을 갖도록 학습?연구한다.
CAE특론(Advanced CAE)
CAE에 대한 기본개념과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적용방법론에 대하여 학습하고, 실제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계, 가공 및 해석 등을 수행한다. 기계구조물, 재료유동, 제품설계, 금형설계 등 제품을 분석하고 금형을 설계하는데 CAE를 활용하는 학습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