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고 본문 바로가기


교육과정

HOME >교육과정 >교과목소개

교과목소개

교과목소개

공학개론(Introduction to Engineering)

공학 개론은 공학을 공부하는 입문자가 공학의 기초를 이해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습득해야 할 학문을 배우는 것이다. 특히 자동차공학에서 핵심을 이루는 기초 역학인 열역학, 유체역학, 재료역학과 재료, 가공, 설계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여 향후 진행되는 자동차전공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기초실력을 배양한다.

기초제도(Elementary Drawing)

자동차, 기계, 조선해양, 항공기 부품의 품질을 유지하도록 부품의 형상, 재질, 치수, 공차 등을 경제적이고 합리적으로 설계를 하여야 하므로, 투상법 및 제도 이론과 실기를 충분히 하여 도면 해독의 기초지식을 배양한다.

공업역학(Statics)

강체 및 구조물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에 의한 여러 가지 변형 및 파괴에 대한 기초 및 응용 지식을 배운다.

고체역학(I)(Mechanics of Materials(I))

외력, 굽힘모멘트, 비틀림모멘트 등에 대한 물체의 변형 및 응력의 발생분포 관계를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간단한 공학적 모델을 응용 연습하여 기계 및 자동차 부품설계의 기초 지식을 배양한다.

응용열역학(I) (Applied Thermodynamics(I))

이상기체의 취급과 열과 일의 사이클에 대하여 열역학적 법칙과 이상기체, 비열, 내부에너지, 엔탈피, 열역학적 사이클, 증기사이클, 기체의 흐름, 동력사이클 등 열전달 기초지식을 실제 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적용능력을 갖게 한다.

응용유체역학(I)(Applied Fluid Mechanics(I))

유체의 기본성질과 이상유체에 대한 정지 및 유동상태에서의 역학적 기본사항을 이해하고, 실제 유체의 유동 손실 및 제 저항을 연구하며, 차원해석, 상사법칙, 경계층 이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자동차공학(I)(Automotive Engineering Practices(I))

자동차는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며 첨단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의 요구에 따라 본 과목은 자동차 작동 메카니즘과 구조 등을 실습과 병행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전산응용설계(Computational Applied Design)

CAD의 이론과 실기를 학습하여 설계능력을 배양하고 최종 설계 및 제도 Project를 수행한다.

기계공작법(Manufacturing Process)

자동차를 제작 하는데 필요한 제작 방법을 취급하는 과목으로 주조, 소성, 절삭가공, 용접, 특수가공, NC가공의 전반을 배우는 학문으로 자동차공학과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과목 중 하나이다.

공학응용통계학(Statistics for Engineering Applications)

공학분야 제품(또는 시설 및 장치 등)의 기획, 설계, 생산, 시험평가, 운영과정에서 측정값(또는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과정을 통하여 기술적 상황들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공학적 통계자료들은 생산관리, 품질관리, 공정관리 등에 활용되며, 여러 가지 의사결정 과정에 도움을 준다. 주요 내용은 통계학에 대한 기초이론과 공학분야에 적용/응용되는 통계지식이다. 또한, 실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종 통계처리 과정을 학습하고, 도표의 작성,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산업현장의 공학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대한 통계학 응용능력을 기른다.

응용유체역학(II)(Applied Fluid Mechanics(II))

유체역학의 기초지식을 응용하여 실제적인 유체정역학문제, 유체동역학문제 특히 배관유체공학문제, 모멘텀 변화에 의한 유체력 계산문제 및 유체기계 응용문제 그리고 실제적인 압력, 유속, 유량측정방법을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실무능력을 습득한다.

고체역학(II)(Mechanics of Materials(II))

비틀림, 보속의 굽힘 응력, 보의 처짐, 부정정보, 기둥의 이론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자동차와 같은 기계구조물의 설계에 응용토록 한다.

자동차공학(II)(Automotive Engineering Practices(II))

자동차는 더욱 더 고성능화, 고효율화, 저연비, 전기전자화 되어감에 따라 자동차의 구조는 나날이 복잡, 다양해지고 있다. 자동차의 기본구조 및 작동원리를 실습과 병행하여 자동차의 고기능 및 첨단화에 따른 관련 기술을 익힌다. 또한 배출가스 규제와 소음 진동 등과 친환경 자동차에 대해 배운다. 공작기계(Machine Tool) 공작기계는 기계를 만들어내는 기계라고 말한다. 이와 같이 모체적 위치에 있는 공작기계 즉 밀링머신, 연삭기와 같은 범용기계, 이들을 자동화한 NC 기계 등의 원리, 구조, 정밀도의 유지관리 등에 관해 배운다.

CATIA 설계(I)(Computer-graphic Aided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Application Design(I))

CATIA를 활용하여 구조해석 및 최적화, 기계 메커니즘 및 NC가공, Mold, Structure & Piping, Rendering & Sketch , 모델의 간섭 유무, 기하학적 구성의 적합성 등의 검토, 격자 핸들링, 정적 및 동적해석 그리고 최적화를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전기전자공학(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전기전자회로에 관한 기초지식을 이해시키며, 전기전자회로의 측정기술과 전자회로의 해석, 설계 및 응용기술을 익히고 나아가 현대 산업기술의 자동화 기술분야에 적응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부품설계실무(I)(Automotive Components Design Practice(I))

자동차, 기계 및 항공기 부품에 발생하는 응력을 주응력, 최대 전단응력, 조합응력 및 좌굴 등으로 해석하여 강도 및 강성도 설계와 기능에 대한 종합적인 설계능력을 기른다.

자동차재료(Automotive Materials)

공업 및 자동차에 응용되는 재료의 범위와 용법, 성질, 성분을 설명하고 강에 적용하는 열처리의 기본원리를 설명한다.

초정밀가공(Ultra Precision Machining)

절삭 가공면의 정밀도가 1미크론 이하의 초정밀 가공법에 관한 내용을 교육하는 것으로 다이아몬드 절삭, 고속 밀링, 초정밀 연삭, 초정밀 방전 가공 등에 대해 기존 절삭가공 방법과의 차이를 이해하면서 초정밀 가공의 특성, 가공원리, 적용사례 등을 익힌다.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원동기로서의 정의, 분류, 구조와 열역학적인 해석과 성능, 가솔린 기관, 디젤기관 등의 지식을 습득한다.

자동차검사공학(Automobile Inspection)

자동차검사공학은 기계적 결함이나 고장으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대한 점검, 정비 및 검사를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자동차의 구조, 장치 및 성능, 안전기준 등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자동차검사장비를 이용하여 검사실습을 수행함으로써 자동차의 상태의 판정 능력을 배양한다. 여기서는 최소회전반경검사, 제동력검사, 속도계검사, 사이드슬립검사, 전조등검사, 가시광선투과율검사 등을 익힌다.

센서계측공학(Sensor & Measurement Engineering)

계측기의 구성 및 원리와 그 응용에 대하여 이해하고 센서계측공학에 관한 기본적인 물리량의 검출 및 변환원리와 변환기의 성능 및 사용법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한다. 또한 실습을 통하여 계측기를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공장자동화시스템(Factory Automation System)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모터, 센서, PLC, 마이크로프로세서, 카메라, 공유압밸브 및 액추에이터 등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하고, 시스템 통합기술, 시스템제어알고리즘, PLC프로그램에 대해 배운다.

CATIA 설계(II)(Computer-graphic Aided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Application Design(II))

산업체에서 생산하려는 제품의 모델을 설계개념에서부터 제품생산까지 전과정에 걸쳐 제작, 수정,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CAD/CAM/CAE 개념을 이해하고 모델링, 설계 능력을 기른다

부품설계실무(II)(Automotive Components Design Practice(II))

축에 조합되는 Coupling, Clutch, Brakes, Gears, Pully, Chain, Bearing, Spring, Fly Wheel과 후벽 실린더 응력 및 압력용기, Pipe Line등의 해석적 설계와 문제해결을 위한 종합적 능력을 높인다.

유공압제어실무(Practice of Fluid Power Control)

유압유의 성질, 유공압장치의 기본구성, 유공압 구동기구의 운동 및 제어방법, 유공압 부품의 설계 및 유공압회로의 특성 등에 관한 이론과 실습을 통한 응용력을 배운다.

에너지공학(Energy Engineering)

재생에너지의 에너지원별로 물리적 원리와 적용사례를 이해하여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함양한다. 태양열에너지,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지열에너지, 해양에너지, 바이오매스와 연료전지를 활용한 친환경에너지 및 자동차에 대해 배운다.

자동차전자제어(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자동차의 전기ㆍ전자제어와 관련된 분야 중 특히 엔진전자제어를 중심으로 전기ㆍ전자제어에서 사용되는 각종 센서와 그 특징, 엔진 전자제어 흡기계, 연료계통 등의 방식의 발달과정과 그 특징 등을 상세히 다룬다.

캡스톤 디자인(I)(Capstone Design(I))

공학도가 가져야하는 창의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으로써, 창의력이 공학도에게 중요함을 가르치고, 나아가 설계사양과 설계개념을 가르치는데 있다.

전산구조해석(Computational Structural Analysis)

Ansys, Abaqus 등 구조해석을 위한 기초이론인 유한요소법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실제 간단한 예로 구조물의 강도해석을 실습하므로써 실제 산업체에서 응용 가능한 기술을 습득하고자 한다.

CATIA 응용설계(CATIA Aided Design)

CATIA 응용 설계 교과목에서는 CATIA 1, 2에서 학습된 설계 기초를 바탕으로 자동차, 항공기, 산업기계 등의 부품설계 분야의 현장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부품설계 분야의 현장 실무 능력 향상을 위하여 CATIA 응용 기술인 DMU Kinematics Simulator 기술을 학습하여 부품의 메커니즘, 드로잉된 모델의 간섭 유무, 기하학적 구성의 적합성 검토,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등을 배양하고자 한다.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해석용 CF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산업현장에 적용되는 다양한 열 및 유동 문제에 대해 해를 구하는 과정을 익히고 실제 문제에 적용하는 방법을 터득한다.

캡스톤 디자인(II)(Capstone Design(II))

자동차공학과 교수 및 전공별로 학과내부에서 운용되고 있는 각종 실험실습실에 속해 있는 전공동아리를 통하여 수행되는 창의공학과제, 소실험실과제를 수행하며, 전공동아리 또는 팀별학습을 통하여 과제의 제안-설계-실행 등에 대한 과제 수행능력과 협동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과제를 완성하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기업체 임직원들이 참여하여 소실험실 과제해결 및 기술지도를 실시하여 과제의 완성도를 높이고 현장의 지식과 경험을 전수한다.

제어시스템응용(Control System Applications)

자동차제어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성능향상을 위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제어시스템에 관한 지 식을 배운다. 이를 바탕으로 자동차의 특정 제어시스템을 대상으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디지털 제어시스템을 설계-제작-프로그래밍-적용실습을 통하여 자동제어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연소열전달(Combustion & Heat Transfer)

자동차엔진, 항공기엔진, 선박엔진 및 화력발전소 등 많은 부분에서 동력 또는 전기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각종 연료를 연소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열에너지 시스템설계를 위해 열전달에 관한 기본개념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연소기술에 관한 기본지식을 습득한 후, 수송기계뿐만 아니라 산업체에ss="img3d_tt2">전기자동차(Electrical Vehicles)

내연기관자동차에 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전기동력 구동장치, 동력제어 시스템, 전기에너지 저장 및 관리장치, 충전장치 등에 대하여 배운다. 또한, 실습을 통하여 각종 구성 요소의 구조원리와 작동과정을 익힌다

공기조화설계(Air Conditoning)

공기조화 및 관련 기기에 대한 설명 및 이해, 관계시스템의 냉-난방 부하 선정 및 설계용어에 관한 기술을 학습한다.

캡스톤디자인(III)(Capstone Design (III))

학생들이 실제 산업현장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대학과정에서 베운 이론을 바탕으로 작품을 기획, 설계, 제작하는 전 과정을 경험토록 하여 산업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창의적 종합설계기술을 배양하고자 한다.

제품개발설계(Products design for its development)

신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설계과정은 제품구상-개념설계-부품상세설계-완제품설계-가공생산 등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각 단계별 과정에서 설계에 필요한 주요 핵심요소에 대한 이해와 요소 설계기술을 배운다. 또한 종합 설계실습 및 NC가공실습을 통하여 제품개발설계에 필요한 지식과 실무경험을 익힌다.

전산응용공학(Applied Engineering of Computer)

컴퓨터를 이용한 각종 구조적 계산을 위하여 아주 쉽고 간단한 이론 및 실무적인 실습을 통하여 직접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고 응용 가능한 설계 기술을 이해하고 습득하고자 한다.

기본조선공학(Principles of Naval Architecture)

조선공학에 대한 제반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기초 교과목으로서 광범위한 조선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실무에 임할 때 이들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선박의 기본 구성요소들의 특징, 선박의 유체정역학적 특성치 계산법, 조종운동 시뮬레이션 기법, 선박운동조종 이론의 실선설계에의 응용 등에 관해서 학습하며, 우리나라 선박안전법의 복원성기준, 국제해사기구의 복원성기준 등에 관해서 학습한다.

선박설계(Ship Design)

선박을 설계함에 있어서 선박구조적인 설계부분을 제외한 기본설계분야를 다루게 된다. 즉, 선박의 주요요목과 기본용어, 선박의 종류와 각각의 특성, 선박설계의 원리, 선박설계의 환경조건, 설계와 법규와의 관계 등에 대하여 강의하고, 선박설계 시 선박의 채산성 및 주요요목 결정과 선형결정법, 그리고 일반배치 결정방법 등의 기본설계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항목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학습한다.

선박생산관리(Ship Production Management)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생산을 대상으로 하는 생산 관리를 말한다. 생산 관리는 생산에 있어서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원가 절감을 기할 수 있는 관리 기법을 다룬다. 일반적인 생산 관리의 필요한 부분을 선별적으로 발췌하여 그 기본 개념을 소개하고,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건조 공정에의 적용 방법을 검토한다.

해양플랜트공학(Offshore Plant Engineering)

해양플랜트공학에 대한 제반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기초 교과목으로서 광범위한 해양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실무에 임할 때 이들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해양구조물과 보조선박, 안전 시스템, 배관 시스템과 프로세스 압력용기, 오일과 가스생산설비, 시추기술, 수중설계기술, 웰 부속품 및 유지보수, 구조용 강 특성, 용접, 비파괴검사, 도장에 대해서 다룬다.


교과목
시수개인협업
과목코드과목명

과학적
사고
창조적
상상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도덕적
가치
판단
공동체
의식
1AE12001자동차구조212Y Y   
2AE11705응용유체역학(Ⅰ)322Y Y   
2AE11704응용열역학(Ⅰ)322YYY   
2AE12004자동차공학(Ⅰ)322Y  Y  
2AE12006기계공작법322Y YY  
2AE12005전산응용설계(CAD)204Y  Y  
2AE11703고체역학(Ⅰ)322Y  Y  
2AE12035공학응용통계학212  YY  
2AE12012CATIA설계( l )322YYYY  
2AE12007응용유체역학(ll)330Y Y   
2AE12008고체역학(ll)322Y  Y  
2AE12009응용열역학(ll)322YYY   
2AE12045자동차공학(ll)330Y  Y  
2AE12011공작기계330Y YY  
2AE11706전기전자공학330Y Y   
3AE12708응용동력공학330YYY   
3AE11708초정밀가공330Y     
3AE12703부품설계실무(Ⅰ)322  Y   
3AE12036자동차검사공학212 YYY  
3AE12016센서계측공학330YY Y Y
3AE12015공장자동화시스템212  Y   
3AE12014자동차재료212Y     
3AE12020자동차전자제어330Y Y   
3AE11711CATIA설계(ll)322YYYY  
3AE12017부품설계실무(ll)330  Y   
3AE12052유압공학330 YY   
3AE12053에너지공학330 YY   
3AE13010캡스톤디자인(l)204YYYY Y
3AE12042CAE세미나212YYYY Y
4AE12025제어시스템응용322YYYY Y
4AE12055전산유체역학330  YY  
4AE12023연소열전달212YYY   
4AE12054전산구조해석314Y Y   
4AE12046CATIA 응용설계 및
3D프린팅
322YYYY  
4AE13702캡스톤디자인(II)204YYYY Y
4AE12043창의공학설계212YYYY Y
4AE12027전기자동차212YY    
4AE12056에너지응용설계220YY Y  
4AE12039캡스톤디자인(ll)204YYYY Y
4AE13007제품개발설계322  YYYY
4AE12040전산응용공학322YY    
4AE12044유체기계실무220YYYY  
1AE11701기초제도322YYYY  
1AE12001자동차구조212Y Y   
2AE11705응용유체역학(Ⅰ)322Y Y   
2AE11704응용열역학(Ⅰ)322YYY   
2AE12006기계공작법322 Y Y  
2AE11703고체역학(Ⅰ)322YYY   
2AE12041자동차공학(Ⅰ)322Y  Y  
2AE12035공학응용통계학212  YY  
2AE12005전산응용설계(CAD)204Y  Y  
2AE12007응용유체역학(ll)330Y Y   
2AE12008고체역학(ll)322Y  Y  
2AE12009응용열역학(ll)322YYY   
2AE12045자동차공학(ll)330Y  Y  
2AE12011공작기계330Y YY  
2AE12012CATIA설계(l)322YYYY  
2AE11706전기전자공학330Y Y   
3AE11707부품설계실무(l)330  Y   
3AE12708응용동력공학330YYY   
3AE11708초정밀가공330Y     
3AE12014자동차재료212Y     
3AE12015공장자동화시스템212  Y   
3AE12036자동차검사공학212 YYY  
3AE12016센서계측공학330YYYY Y
3AE12020자동차전자제어330Y Y   
3AE11711CATIA설계(ll)322YYYY  
3AE12017부품설계실무(ll)330  Y   
3AE12047유압공학330 YY   
3AE12048에너지공학330 YY   
3AE13010캡스톤디자인(l)204YYYY Y
3AE12042CAE세미나212YYYY Y
4AE12049전산구조해석314YYY   
4AE13702캡스톤디자인(II)204YYYY Y
4AE12023연소열전달212YYY   
4AE12050전산유체역학330  YY  
4AE12025제어시스템응용322YYYY Y
4AE12046CATIA 응용설계 및
3D프린팅
322YYYY  
4AE12043창의공학설계212YYYY Y
4AE12027전기자동차212YY    
4AE12051에너지응용설계220YY Y  
4AE12039캡스톤디자인(lll)204YYYY Y
4AE13007제품개발설계322  YYYY
4AE12040전산응용공학322YY    
4AE12044유체기계실무220YYY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