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고 본문 바로가기


교육과정

사이드바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양전공교과과정

교양전공교과과정



졸업소요 학점 및 전공교과 개설 학점 총괄표

전공교과 졸업소요 학점

학과(부)
전공
이수구분 제1전공 제2전공 전공졸업
소요학점
필수 선택 소계 다전공 권장교과 60학점 중
텍스타일
디자인학과
단일전공(심화)205575-75~
다 전 공복수전공   해당사항없음 
부전공     
  • *단일전공 최소이수학점: 전공필수 0~21학점을 포함하여 75학점 이상 이수 공통적용
  • *다전공 제2전공 최소이수학점: 학과별 다전공 권장 이수 과목 75학점(25과목) 이상을 지정하여 지정교과목 중 복수전공 45학점, 부전공 21학점 이상 이수

전공교과 개설학점 총괄표

학과(부)명 졸업학점 학점 시수
전공필수
학점(강좌수)
전공선택
학점(강좌수)

학점(강좌수)
이론
시수(강좌수)
이론+실습
시수(강좌수)
실습
시수(강좌수)

시수(강좌수)
텍스타일
디자인학과
13020 (7)84 (30)104 (37)6 (2)133 (34)0 (0)139 (37)
  • *참고: 전공필수 0~21학점 포함하여 평균 108학점 편성운영 중이며, 학과별 개설학점: 90~120학점, 강의시수: 120~150시간

학업기초, 균형교양 학과 이수 지정교과

학과 이수
구분
영역 교과목명 교과목 코드 학점
(학점-이론-실습)
개설학기 비 고
(개설운영/ 공동개설 학과)
텍스타일디자인 학과학업기초건설환경공과대학평면디자인N610163-2-21 
학업기초건설환경공과대학섬유소재학N610173-2-21 
학업기초건설환경공과대학디자인론N610483-3-01 
 3 과목    
  • *학업기초에서 학과 이수 지정 교과는 9학점 이내 지정
  • *학업기초 지정 교과를 포함하여 균형교양 융복합/자유영역 지정교과는 12(15)학점 이내 지정
  • *첨부: 서식3-1, 서식3-2, 서식3-3, 서식3-4, 서식3-5[서식 3-1]

( 텍스타일디자인 )학과(부) 교육과정 편성표

학년
-
학기
이수
구분
교과목
코 드
교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학점 시수 비 고
이론 실습
1-1전선TD12028현대사회와 글로벌마켓Contemporary Society and Global Market3303 
전선TD12037사진 연구Photography2123 
전선TD12067관찰과 표현기법Observation & Expression2123 
1-2전선TD12038기초입체Story of Civil Engineering3224 
전선TD12039창조와 디자인Creativity and Design2123 
전선TD12040스타일링Styling3224 
전선TD12069색채와 문화Color & Culture3224수요자중심
2-1전필TD12708색채심리 & 디자인Color Psychology & Design3224 
전필TD12713기초염색실기 ⅠBasic Dyeing Ⅰ3224 
전필TD12714텍스타일가공 및 실험ⅠTextile Finishing & Laboratory Ⅰ3224 
전선TD12030디자인트렌드와 소재기획Design Trend & Material Planning3224수요자중심
전선TD12068드로잉Drawing2123 
전선TD12072컴퓨터그래픽ⅠComputer GraphicⅠ2123 
2-2전필TD12709마케팅Marketing3303 
전선TD12041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2123 
전선TD12042텍스타일디자인Textile Design2123 
전선TD12043컴퓨터그래픽 ⅡComputer Graphic Ⅱ2123 
전선TD12073기초염색실기 ⅡBasic Dyeing Ⅱ3224 
전선TD12074텍스타일가공 및 실험ⅡTextile Finishing & Laboratory Ⅱ3224수요자중심
3-1전필TD12710조형실습Soft Sculpture & Mixed Media Practice3224 
전선TD12044산학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2123 
전선TD12045디지털 텍스타일디자인Digital Textile Design2123 
전선TD12046디자인 CADDesign CAD2123 
전선TD12070염색응용디자인Dyeing Design3224산학협력도제
전선TD12071천연염색 및 실습ⅠNatural Dyeing & Laboratory Ⅰ3224산학실무
3-2전필TD12711상품기획Merchandising3224 
전필TD12716천연염색 및 실습 ⅡNatural Dyeing & Laboratory Ⅱ3224 
전선TD12047공간과 조형Space and molding3224산학실무
전선TD120483D프린팅 제품개발3D Printing Product2123 
전선TD12075염색디자인Dyeing Design3224산학실무
4-1전선TD12034VMD 디자인 마케팅VMD(Visual Merchandising) Design Marketing3224산학협력도제
전선TD12049취ㆍ창업 포트폴리오Portfolio3224 
전선TD12050ICT 융합 비즈니스ICT Convergence Business2123 
전선TD12076천연염색상품Natural Dyeing Cultural Product3224산학협력도제
전선TD12077염색프로젝트Dyeing Project3224 
4-2전선TD12051융합디자인연구Convergence Design3224 
전선TD12052E-비즈니스E-business3224 
전선TD12053창업프로젝트Startup Project2123 
전선TD12061염색디자인프로젝트Dyeing Design Project3224 
합계39과목 1036674140 
  • 기존 개설교과목의 경우 교과목코드 반드시 기재(`18학년도 교육과정 참조)
  • 이수구분 “전필”, “전선”을 표기하고, 비고란에 산학협력도제,산학실무형,수요자중심 교과목 표기(각 9학점)
  • P/F 평가 교과목은 비고란에 “★” 표시
  • 다전공 권장 교과목은 교과목명 옆에 “㉰” 표시 75학점(25개교과목) 이상 지정
  • 전과학생 이수 지정교과는 교과목명에 “” 표시

텍스타일디자인학과학과 전공 교육과정운영 기초자료

1. 학과(전공)특성

학문적 특성 :

ㆍ4차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산업적 요구에 대처하기 위하여 텍스타일디자인학과는 국가 및 지역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견인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실무 비즈니스 디자인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정보화, 전문화, 고도화, 다양화 되어가고 있는 시대적 상황과 사회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광범한 영역에서 기술적, 산업적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창의융합디자인 전문 인력 양성을 교육목표로 설정하였음

ㆍ전문 영역 교과를 비롯하여 교과 간 연계 및 융복합으로 구성된 교과 과정과 타 분야와의 소통, 디자인 전문인으로의 소양을 양성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된 체계적인 교육의 수행으로 학과 교육 목표를 달성하고자 함

관련 산업 :

ㆍ 진주시의 경남혁신도시 입주 공공기관(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관리공단 등)의 기업 특성상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서 지역 인력 채용을 확대할 것이 예상되고 있음 또한 경상남도는 국내 항공산업 생산액의 79%, 사업체 수의 63%, 종사자 수의 64%를 차지하는 항공 제조산업 집적지이므로, 항공부품 및 연계 산업분야에 3D 프린팅 디자인전문 기술 인력 양성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ㆍ특히 3D 프린팅 기술은 우주항공, 전기전자, 기계 등 다양한 산업 제조공정에 활용되며 창의적 사고를 구현하는 효율적 도구이라는 점에서 ICT융합 전문 디자인 인력이 필요한 분야임

특성화 방향 :

ㆍ 국가적, 지역적 니즈에 부응할 수 있는 항공우주부품 및 신소재 산업 맞춤형 인력 양성을 위해 3D 프린팅, 디자인 공학, 융합신소재 디자인, 디지털 디자인 등의 교육 과정 특성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ㆍ텍스타일디자인학과는 급변하는 4차산업혁명시대의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창의디자인, 기술, 경영의 융합(Convergence) 교육 모델을 운영하고, 국가 혁신 성장과 지역 경쟁력 강화의 리더가 될 현장맞춤형 실무역량(Capability)을 보유한 지역밀착형(Community)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융합 디자인 전문가를 배출하는 학과로 특성화하고자 함

2. 학과 전공의 지향점

학과비전 :

『신산업 분야를 리드하는 창의융합디자인학과』

산업적 요구에 부합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융합형 디자인인재 양성 학과

융합교육을 통해 첨단 ICT 기반 산업에 빠르게 적응하는 미래 글로벌 선진 디자인학과

학과 인재상 :

① 현장형 전문 인재 : 최첨단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기업 수요에 부응하는 현장 실무형 전문 인재
② 창의적 디자인 인재 : 하이테크와 하이터치가 결합된 합목적적이며 통합적인 사고능력과 감수성을 지닌 창의적 디자인 인재
③ 통합적 멀티 인재 : 비즈니스 목표를 위한 다양한 문제 해결 능력과 제품기획, 개발, 마케팅 등 광범위한 영역의 전문지식을 보유한 통합적 멀티 인재

학과 교육 목표 :

『디자인, 기술, 비즈니스의 융합 교육과정 운영으로
디지털정보화사회에서 요구하는 기업 맞춤형 ICT디자이너 양성』
● 디자인, 기술, 비즈니스의 융합 기반 교육과정과 현장맞춤형 실무 역량 강화 프로그램 집중 운영으로
디지털정보화 시대에 필요한 기업 맞춤형 ICT 창의융합 디자이너 양성
● 합리적인사고, 창의력, 표현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육성시키기 위한 전공 능력 배양
● 현장중심의 체계적인 실무교과목 적용을 통한 혁심역량 강화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디자인 전문 인재 양성

전공(능력)역량 :

● 자기계발 능력 : 기술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졸업 후에도 지속적으로 자기 계발할 수 있는 능력
● 현장중심형 실무교육 : 산·학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취업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능력
● 정보화 대비 :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IT 강화 능력
● 전문지식 응용 및 분석능력 : 전공분야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이에 관련 문제해결을 응용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


교과목 개요

현대사회와 글로벌마켓 ( Contemporary Society and Global Market)

세계화와 정보화가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글로벌 마켓, 글로벌 기업과 사회적 책임 등을 학습한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디자인 산업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현대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디자이너의 소양을 기른다.

사진 연구 (Photography)

사진학의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사진에 대한 기본 개념과 기술을 학습함으로써 시각 언어 표현법의 기초를 다진다. 이론의 이해와 실습을 통해 사진의 기술적인 면을 고루 경험하게 함으로써 사진 매체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한다.

관찰과 표현기법 (Observation & Expression)

아이디어 발상에서부터 구체적인 단계에 이르기까지 디자인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과 표현능력을 익히도록 한다.

기초입체 (Story of Civil Engineering)

입체와 공간의 개념, 조형적 구조의 원리를 연구하고 재료의 실험과 입체조형물의 제작실습을 통하여 3차원적 공간의 구성 및 기초 입체조형 감각을 기르도록 한다.

창조와 디자인 (Creativity and Design)

창의적 디자인 사고를 이용한 다양한 상상력과 구체적인 조형 연습을 통하여 창의 융합 디자인 제품 개발에 필요한 문제해결 능력을 습득한다. 특히 관찰, 상상, 구체화 단계를 통하여 잠재되어 있는 창조적 능력을 계발하고 발전시킨다.

스타일링 (Styling)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한 이론을 학습하고, 최근 유행에 나타나는 코드들을 이해하여 디자인과 스타일링에 적용할 수 있는 감각을 키우도록 한다.

색채와 문화 (Color & Culture)

전통적인 색채문화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이해하고 현대의 트렌드 색채를 적용시켜 국내외 문화색채를 폭 넓게 지식을 습득하여 경상남도 전략산업인 실크산업이 요구하는 디자이너로서의 자질을 키운다.

색채심리 & 디자인 (Color Psychology & Design)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이론과 소비자 심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색채의 응용법을 익혀 색채를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산업 및 생활 분야에서 제기되는 문제에 기반한 색채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실무 역량을 향상시킨다.

기초 염색 실기 Ⅰ(Basic Dyeing Ⅰ)

염색에 대한 다양한 표현기법의 습득을 통하여 조형적인 미와 표현양식을 정립하고 조형능력을 기른다.

텍스타일가공 및 실험 Ⅰ (Textile Finishing & Laboratory Ⅰ)

디자인 재료 및 그 구조물의 품위향상, 보존적 기능유지와 노화방지를 위한 기술정보를 제공하여 섬유, 염료, 가공제 등의 이화학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과 응용실습을 통하여 연구한다.

디자인트렌드와 소재기획 (Design Trend & Material Planning)

정치·경제, 사회·문화의 변천에 따른 시대의 패러다임과 메가 트렌드를 탐구하고 최근 디자인 트렌드와 스타일 특성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독창적인 소재 디자인을 상품으로 기획, 개발하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드로잉( Drawing)

표현대상의 형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구조적 이해를 도모하고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분석 규명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대상을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방 법을 통해 조형성과 창조력을 함양 시키고 조형요소, 조형원리의 이해와 연구를 바 탕으로 표현재료에 따르는 다양한 표현기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컴퓨터그래픽 Ⅰ( Computer Graphic Ⅰ)

컴퓨터에 관한 운용방법을 이해하고 실제 연습을 통해 섬유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그래픽의 이용 능력을 증진시킨다.

마케팅 (Marketing )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소비자의 요구와 행동을 이해하고, 마케팅 환경 조사와 마케팅 전략 학습을 통하여 실무에 유용한 지식과 능력을 함양한다.

디자인씽킹( Design Thinking )

디자인씽킹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디자인씽킹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프로세스를 이해하도록 한다.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적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으로써 창의적인 사고를 촉진하고, 실질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기른다. 디자인씽킹을 기반으로 자기 혁신(Self Innovation), 경영 혁신(Business Innovation), 사회 혁신(Social Innovation)을 주도할 수 있으며, 인간 중심적 문제 해결을 실천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텍스타일디자인 (Textile Design )

직물의 다양한 재료를 파악하여 디자인에 내포되는 조형적 원리와 색채, Texture등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바탕으로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표현 능력을 배양한다.

컴퓨터그래픽 Ⅱ (Computer Graphic Ⅱ)

다양한 컴퓨터 그래픽 활용 기술들을 응용, 실습하여 졸업 후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컴퓨터 그래픽 활용 능력을 적극 향상시킨다.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를 습득할 수 있는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실무 능력 배양이 되도록 한다.

기초염색실기 Ⅱ (Basic Dyeing Ⅱ)

염색에 대한 다양한 표현기법의 습득을 통하여 조형적인 미와 표현양식을 정립하고 조형능력을 기른다.

텍스타일가공 및 실험 Ⅱ (Textile Finishing & Laboratory Ⅱ)

디자인 재료 및 그 구조물의 품위향상, 보존적 기능유지와 노화방지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섬유, 염료, 가공제 등의 이화학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과 응용실습을 통하여 연구한다.

조형실습 (Soft Sculpture & Mixed Media Practice)

조형의 기초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법과 재료를 응용하여 조형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조형 전반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체험하여 보다 차원 높은 조형적 능력을 함양시킨다.

산학 캡스톤디자인 (Capstone Design)

창의적 종합설계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으로 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해 기획, 제작, 평가까지 일련의 과정을 학생들이 직접 수행한다. 특히 학생들의 창의적 캡스톤디자인을 산업체의 수요 아이디어와 연계하여 학생들의 디자인·기술·비즈니스 융합 능력을 극대화하고 산학 연계를 강화한다.

디지털텍스타일디자인 (Digital Textile Design )

실제 텍스타일 제품 생산에 적용되는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과 CAD시스템을 사용하여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제품기획, 생산과정에 수반되는 과정을 실습함으로써 실무 적응 능력을 향상시킨다.

디자인 CAD ( Design CAD )

전문적인 CAD(Computer Aided Design) Software인 Tex Pro, 3D Virtual Design Software 인 CLO 등의 기본적인 툴 및 기능 사용법을 학습하고 다양한 표현 테크닉을 습득한다.

염색응용디자인 (Dyeing Design)

염색의 다양한 기법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전반적인 잠재능력을 기른다.

천연염색 및 실습 Ⅰ (Natural Dyeing & Laboratory Ⅰ)

천연물로부터 얻은 염료를 사용하여 주로 천연섬유에 염색하는 것을 말하며, 그 자체가 전통산업으로써 염색문화의 기본이 되고 있다. 이 강좌에서는 염료자원의 분류, 염재식물로 부터 추출 및 염색방법을 이론과 실험ㆍ실습을 통하여 익히도록 하여 천연염색 전문가가 될 수 있는 기본 소양을 함양하게 한다.

상품기획( Merchandising )

머천다이징의 구체적인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여 제품 개발, 소싱, 생산관리, 시장과 소비자 분석, 판매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통제할 수 있는 머천다이저의 실무 역량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판매계획 수립, 실행, 조정, 평가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도록 한다.

천연염색 및 실습 Ⅱ (Natural Dyeing & Laboratory Ⅱ)

천연물로부터 얻은 염료를 사용하여 주로 천연섬유에 염색하는 것을 말하며, 그 자체가 전통산업으로써 염색문화의 기본이 되고 있다. 이 강좌에서는 염료자원의 분류, 염재식물로부터 추출 및 염색방법을 이론과 실험ㆍ실습을 통하여 익히도록 하여 천연염색 전문가가 될 수 있는 기본 소양을 함양하게 한다.

공간과 조형 (Space and molding )

입체조형의 구성 요소와 원리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다양한 재료의 활용을 바탕으로 사물의 형태가 가지는 구조 및 공간의 확장성을 통해 3차원적인 조형 감각을 기르고 사물의 형태 및 구조에 대한 이해력의 증진과 창의적인 조형 감각을 배양하고자 한다.

3D프린팅 제품개발 (3D Printing Product)

3D 모델링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실습하여 3D 프린팅 결과물로 출력함으로써 3D 프린팅의 전반적인 운영 체계를 이해한다. 나아가 3D 프린팅 기술 기반의 새로운 제품 기획의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미래 산업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염색디자인 (Dyeing Design)

기초염색실기에서 습득한 염색기법 및 미적 감각을 실제작업에 응용하여 자유로운 구상과 표현을 가능케 함으로서 산업사회에 필요한 독창적인 섬유디자이너의 능력을 갖춘다.

VMD 디자인 마케팅 VMD(Visual Merchandising) Design Marketing

V.M.D.(비주얼머천다이징)의 기초 이론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사레를 분석해 본다. 시각적인 홍보,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상품의 효율적 판촉을 도모하는 방법을 다루며 브랜드 컨셉의 차별화, 판촉 목표, 계절성 등을 중심으로 하여 이를 가시화하는 전략을 습득한다.

취ㆍ창업 포트폴리오 (Portfolio)

개인의 개성과 특성, 능력의 시각적인 전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의 포트폴리오를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한다. 특히 성공적인 취ㆍ창업에 필요한 개인별 포트폴리오 작성 계획, 작성 내용. 정리 방법, 표현기법 등을 점검하여 취ㆍ창업을 위한 포트폴리오를 완성한다.

ICT 융합 비즈니스 (ICT Convergence Business )

4차 산업을 이끄는 기술과 다양한 적용 사례에 대한 학습을 통해 ICT, 디자인, 비즈니스 융합 개념을 이해한다. 이를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융복합 디자인 제품을 개발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습득한다.

천연염색상품 (Natural Dyeing Cultural Product)

문화예술과 역사를 바탕으로 디자인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생활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품을 제작하며 천연염색문화산업과 천연염색 산업화와 연계하여 학습효과를 배양해 나간다.

염색프로젝트 (Dyeing Project)

다양한 염색기법, 재료 등 을 이용하여 실용적인 생활용품 및 창작물 등의 제작 연구와 현실적인 적용능력을 배양한다.

융합디자인연구 (Convergence Design )

지역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맞춤형 디자인 인재 양성을 위하여 산업체와의 교류를 통해 우수과제를 도출하여 제품으로 승화시켜 봄으로써 산업 현장 수요에 부합하는 창의적인 융합디자인 능력 개발을 목표로 한다.

E-비즈니스 (E-business)

최근 기술의 발전과 함께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E-business의 다양한 측면과 모델들을 이해하고, 생산, 마케팅, 소비 등 전체 가치 사슬에 대한 ICT 적용 문제를 다룬다. 특히 대량맞춤(mass-customized) 제품 및 서비스 구현, 3D 가상 리테일링(3D visual retailing), 모바일 커뮤니케이션(mobile communication)을 중심 주제로 산업 현장에서 창의적으로 응용 가능한 기술을 습득한다.

창업 프로젝트 (Startup Project)

미래 트렌드를 예측하는 방법을 실습하고, 창의적인 발상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기획, 개발, 실행해보는 프로세스를 경험함으로써 성공적인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창업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과 지식재산권 획득을 통해 사업 계획에 대한 구체화 및 자립 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하여 실질적인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한다.

염색디자인 프로젝트 (Dyeing Design Project)

산한연계 프로젝트와 실무수행 능력 제고를 위한 실습과목으로써 염색에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재료의 활용 및 염색기법을 이용하여 실용적인 생활용품 또는 창의적인 작품 제작을 실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