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고 본문 바로가기


교육과정

>교육과정>교과목소개

교과목소개

교과목소개

간호학개론(Introduction to Nursing Science)

간호의 정의 및 개념, 간호철학 및 윤리와 간호의 발자취의 고찰을 통하여 미래 지향적인 간호관과 간호사로서의 바람직한 사고 및 역할을 정립하고 간호전문직 표준과 법적 윤리적 기준을 이해한다.

생명과학입문(Introduction to Life Science)

생명의 기원과 진화과정을 통해 오늘날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명체의 형성과정을 이해하고, 자연계에 존재하는 상호의존적 관계속에서의 생물체의 공통적인 특징과 구성성분 및 작용원리를 습득함으로써 생명체의 발생, 발달, 유지 및 연속성에 대한 기본적 생존원리를 이해한다.

생화학입문(Introduction to Biochemistry)

생명체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세포의 구조와 기능에 관여하는 핵심적 분자들의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과 이를 기초한 고유하고 다양한 기능을 통하여 수행하는 에너지합성과 조직세포의 구성성분 합성, 물질대사 및 유전자의 발현 등에 대한 작용원리를 습득함으로써, 정상상태와 질병발생의 원인과 관련된 임상적 사례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 지식을 함양한다.

인체해부생리학Ⅰ(Human Anatomy & PhysiologyⅠ)

인체를 구성하는 각 계통부위 중 조직 기관의 구성, 뼈대계통, 관절, 근육계통, 혈액, 심장혈관계통 및 면역계통에 해당하는 조직장기에 대하여 정상적인 구조적 위치와 특징 및 명칭을 익히고 주위 구조들과의 상호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며, 나아가 해당 조직기관의 고유한 생리기능과 다양한 내외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상호 역동적 교류를 통한 통합적 신체의 항상성 조절을 위한 상호간의 기능적 관계 및 조절메커니즘을 파악하여 각 기관별 및 통일체로서의 신체에 대한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을 이해함으로써, 해부생리적 근거기반에 기초한 간호전공 이론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 지식을 배양한다.

건강심리학(Health psychology)

신체적 건강과 질병에 미치는 심리적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성격, 행동 패턴의 영향을 고찰하며, 다양한 심리치료적 개입과 대처방안 등을 이해한다.

의학용어(Medical Terminology)

그리스어와 라틴어에 기초한 의학용어의 어원을 이해하고 용어의 활용법을 학습하여 의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인간성장과 발달(Human Growth and Development)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의 특성, 발달과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인간 이해의 기초 능력을 마련한다.

병원미생물학(Pathogenic Microbiology)

감염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미생물의 분류, 종류, 명명 및 특징을 파악하고 이들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성 질환과 발증, 감염경로 및 인체의 방어기전과 항미생물제에 의한 예방과 치료법에 대한 기본원리를 이해함으로써, 각 조직장기별 감염성 질환의 유형과 원인, 특징 및 치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감염성 질환의 체계적인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적 지식을 함양함.

생활과 건강(Life & Health)

개인과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건강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운동, 영양, 간호, 건강증진과 건강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간호와 영양(Nursing & Nutrition)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통한 간호대상자의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해 영양소의 종류별 역할과 대사 및 영양 과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임상적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생애주기 및 질환에 따른 영양요구 조건과 영양치료를 통합적으로 이해하여 효율적인 영양중재 방안을 간호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인체해부생리학Ⅱ(Human Anatomy & PhysiologyⅡ)

인체를 구성하는 각 계통부위 중 소화계통, 호흡계통, 비뇨계통, 생식계통, 내분비계통, 신경계통, 외피계통 및 특수감각에 해당하는 조직장기에 대하여 정상적인 구조적 위치와 특징 및 명칭을 익히고 주위 구조들과의 상호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며, 나아가 해당 조직기관의 고유한 생리기능과 다양한 내외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상호 역동적 교류를 통한 통합적 신체의 항상성 조절을 위한 상호간의 기능적 관계 및 조절메커니즘을 파악하여 각 기관별 및 통일체로서의 신체에 대한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을 이해함으로써, 해부생리적 근거기반에 기초한 간호전공 이론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 지식을 배양한다.

인체해부생리학Ⅱ(Human Anatomy & PhysiologyⅡ)

인체를 구성하는 각 계통부위 중 소화계통, 호흡계통, 비뇨계통, 생식계통, 내분비계통, 신경계통, 외피계통 및 특수감각에 해당하는 조직장기에 대하여 정상적인 구조적 위치와 특징 및 명칭을 익히고 주위 구조들과의 상호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며, 나아가 해당 조직기관의 고유한 생리기능과 다양한 내외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상호 역동적 교류를 통한 통합적 신체의 항상성 조절을 위한 상호간의 기능적 관계 및 조절메커니즘을 파악하여 각 기관별 및 통일체로서의 신체에 대한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을 이해함으로써, 해부생리적 근거기반에 기초한 간호전공 이론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 지식을 배양한다.

리더십(Leadership)

리더십 함양에 요구되는 주요개념과 이론을 학습하고, 학생들의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미래를 적극적으로 설계하고 준비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인간관계와 의사소통론(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인간에 대한 이해와 자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기본개념과 효율적이고 건강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방법을 학습한다.

기본간호학Ⅰ(Fundamentals of Nursing I)

간호학 입문과목으로 간호학의 기본이 되는 간호의 주개념 및 인간의 기본요구 충족을 위한 기본이론을 학습하여 간호사로서의 기본소양을 마련한다.

기본간호학실습Ⅰ(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I )

기본간호학 1과 연계하여 기본간호기술 및 인간의 기본요구 충족을 위한 간호기술을 실습실 실습을 통해 학습하여 간호사로서의 기본소양을 마련한다.

건강교육(Health Education)

건강교육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생활터전 별 건강교육의 특성과 구체적 운영방법을 학습함으로써 다양한 지역사회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건강교육 역량을 함양한다.

국제간호(International Nursing)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고, 국내외 간호실무의 동향을 파악한다.

약리학(Pharmacology)

약물의 일반적 원칙과 약물의 특성 및 생체에 미치는 효과를 학습하여 대상자에게 정확한 투여 방법을 알고 간호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건강사정 및 실습(Health Assessment and Practicum)

인체 계통별 건강사정 방법을 이해하고 정상과 비정상 상태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기본간호학실습Ⅱ(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Ⅱ)

기본간호학 Ⅱ와 연계하여 기본간호기술 및 인간의 기본요구 충족을 위한 간호기술을 실습실 실습을 통해 학습하여 간호사로서의 기본소양을 마련한다.

성인간호학Ⅰ(Adult Health Nursing I)

성인의 생애주기별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개념을 학습하고, 위장관 장애 그리고 간, 담도, 췌장장애를 가진 개인과 가족 및 지역사회 대상자의 간호 요구를 파악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한다

아동간호학Ⅰ(Children's Health NursingⅠ)

인간의 정상적인 성장발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신생아부터 청소년까지 아동과 그 가족의 건강유지, 증진 및 회복을 돕기 위하여 기본적인 전공지식과 기초적인 간호적용능력을 함양한다.

여성건강간호학Ⅰ(Women's Health NursingⅠ)

교양 및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생애주기에 따른 여성 건강 문제와 간호 요구를 이해하고, 간호과정 적용을 위한 비판적 사고를 학습한다.

성인간호학Ⅱ(Adult Health Nursing Ⅱ)

순환기계(호흡기 장애, 심장장애, 혈관장애) 건강문제를 갖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사회 대상자의 간호 요구를 파악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한다.

여성건강간호학Ⅱ(Women's Health Nursing Ⅱ)

교양 및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생애주기에 따른 여성 건강 문제와 간호 요구를 분석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과정 적용능력을 함양한다.

아동간호학Ⅱ(Children's Health Nursing Ⅱ)

인간의 성장발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신생아부터 청소년까지 아동과 그 가족의 건강유지, 증진 및 회복을 위해 기본적인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적합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함양한다.

정신간호학Ⅰ(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Ⅰ)

전인적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정신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정신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료적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정신건강을 유지, 증진, 회복하고 정신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정신간호중재를 적용할 수 있다.

지역사회간호학Ⅰ(Community Health NursingⅠ)

지역사회 간호학의 개념, 역사적 배경, 보건의료 전달체계를 이해하고 지역사회 간호사업 수행에 필요한 간호 과정을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실무에 필요한 기초적인 역량을 함양한다.

성인간호학실습Ⅰ(Adult Health Nursing Practicum I)

성인간호학에서 습득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기반으로 임상에서 광범위한 간호문제를 가진 성인 대상자들에게 접근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실무역량을 함양한다.

여성건강간호학실습Ⅰ(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Ⅰ)

임상실습을 통해 임신, 분만, 산욕 과정 및 생애주기에 따른 여성 건강문제와 간호 요구를 학습하고, 대상자의 간호문제 해결에 필요한 간호과정 적용 능력을 함양한다.

아동간호학실습Ⅰ(Children's Health Nursing PracticumⅠ)

아동의 성장?발달단계와 건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강문제를 발견하고, 아동과 그 가족의 건강 회복과 유지, 증진 및 질병예방을 위하여 간호과정을 올바르게 수립하며 임상 상황에 적합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필요한 핵심기본간호술을 올바른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성인간호학Ⅲ(Adult Health Nursing Ⅲ)

근골격계, 체액불균형 및 배뇨계의 건강문제를 갖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사회 대상자의 간호요구를 파악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한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한다.

정신간호학Ⅱ(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Ⅱ)

전인적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정신건강문제를 파악하고, 정신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하고, 적합한 정신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지역사회간호학Ⅱ(Community Health Nursing Ⅱ)

지역사회 간호의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 대상자의 적정 기능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구집단별 감염성질환과 만성질환 관리 등의 내용을 학습하고 이를 지역사회 간호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간호관리학Ⅰ(Nursing Management Ⅰ)

건강관리 조직 내에서 간호사의 기획 및 성과관리능력, 업무개선 및 평가능력, 자기개발 등의 학습역량을 향상하여 간호조직에서 필요한 협력과 업무조정능력 및 리더십을 발휘능력을 학습한다.

성인간호학실습Ⅱ(Adult Health Nursing Practicum Ⅱ)

성인간호학에서 습득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기반으로 임상에서 광범위한 간호문제를 가진 성인 대상자들에게 접근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실무역량을 함양한다.

모아선택실습(Selective Practicum in Maternity-Child Nursing)

여성건강간호학과 아동간호학의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간호실무의 윤리적 기준을 분석하고, 대상자의 건강유지, 증진 및 회복을 위한 간호과정을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지역사회간호학실습Ⅰ(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umⅠ)

지역사회 간호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과 기능을 학습하고 지역사회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지역사회 간호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지역사회 실무역량을 함양한다.

노인간호학(Geriatric Nursing)

노인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과 노년기에 발생하기 쉬운 건강문제 등을 교육하여 예방적인 건강회복 간호서비스의 중요성과 노인문제를 보다 포괄적으로 접근하는데 필요한 간호역량과 변화하는 노인정책을 학습한다.

간호통계(Nursing Statistics)

간호 통계의 기초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건강관련 자료를 수집, 정리, 분석, 및 평가하는 데 필요한 통계기법 등을 학습하여 자료 분석 및 활용 능력을 함양한다.

간호정보(Nursing Informatics)

간호정보학은 간호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서 활용할 수 있는 정보 활용능력과 수집된 자료를 정보와 지식을 생산하는 정보관리 능력을 학습하여, 필요한 간호술 찾아 제공하고 간호연구 수행능력을 계획 적용한다.

성인간호학Ⅳ(Adult Health Nursing Ⅳ)

신경계와 내분비계의 건강문제를 갖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사회 대상자의 간호 요구를 파악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한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하고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통합능력을 학습한다.

여성건강간호학Ⅲ(Women's Health Nursing Ⅲ)

다양한 지식을 근거로 생애주기에 따른 여성 건강문제와 간호실무의 윤리적 기준을 분석하고 통합적으로 적용한다.

아동간호학Ⅲ(Children's Health Nursing Ⅲ)

인간의 성장발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신생아부터 청소년까지 아동과 그 가족의 건강유지, 증진 및 회복을 위해 기본적인 전공지식을 통합하여 간호과정을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정신간호학Ⅲ(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Ⅲ)

전인적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정신건강문제를 파악하고, 이러한 정신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통합적인 실무역량을 함양한다.

지역사회간호학Ⅲ(Community Health Nursing Ⅲ)

지역사회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지역사회 건강문제 해결능력을 기르기 위해 역학, 건강형평성, 보건사업 등을 학습한다.

간호관리학Ⅱ(Nursing Management Ⅱ)

간호관리자로서 갖추어야 할 창의성, 리더십과 직무수행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간호조직에서 필요한 지휘, 통제를 학습하고 간호실무에서 법적·윤리적 적응능력과 리더십 발휘능력을 학습한다.

성인간호학실습Ⅲ(Adult Health Nursing Practicum Ⅲ)

성인간호학에서 학습한 이론, 지식, 태도를 통합하여 임상에서 위기 및 특수 간호문제를 가진 성인 대상자들에게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실무역량을 함양한다.

정신간호학실습Ⅰ(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PracticumⅠ)

간호과학적 지식과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정신건강상태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정신간호문제를 규명하여 해결하기 위하여 치료적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술 및 일련의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실무역량을 함양한다.

지역사회간호학실습Ⅱ(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um Ⅱ)

다양한 지역사회 간호 실무 현장과 관련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간호사의 업무와 보건사업 등을 경험하고 학습함으로써 보다 전문적인 지역사회 간호사의 실무역량을 함양한다.

간호관리학실습(Nursing Management Practicum)

간호 관리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건강 전달체계내의 간호조직 및 간호관리를 위한 기획, 통제, 인사, 지휘, 조정 및 통제의 실무를 학습하여, 전문간호인으로서 협력 및 조정능력과 간호전문직 표준인지능력을 함양한다.

간호연구(Nursing Research)

간호연구의 기본개념, 연구 윤리 등의 기초 지식과 연구과정을 학습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를 기획한다.

성인간호학Ⅴ(Adult Health Nursing Ⅴ)

조절기능 및 감각기능의 건강문제를 갖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사회 대상자의 간호 요구를 파악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한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하고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통합능력을 학습한다.

보건의료법규(Medical Law)

보건 의료인과 관련된 의료법, 보건의료기본법, 국민건강보험법 등 제반법규를 학습하여, 임상현장업무와 관련된 법적 기준과 간호 전문인으로서의 법적 책임과 의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성인간호학실습Ⅳ(Adult Health Nursing Practicum Ⅳ)

성인간호학에서 습득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통합하여 임상에서 특수 및 위기 간호문제를 가진 성인 대상자들에게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적용 및 응용함으로써 실무역량을 함양한다.

정신간호학실습Ⅱ(Psychiatric Mental Health Practicum Ⅱ)

간호과학적 지식과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정신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정신간호문제를 규명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치료적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술을 통합 적용하고, 윤리문제 상황에서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한다.

노인간호학실습(Geriatric Nursing Practicum)

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으로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노인이나 만성 퇴행성 질환을 가진 노인에게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간호를 통해 노인성 질환을 사전에 예방하고, 심신건강과 증진을 도모하며, 노인 학대에서 보호할 수 있는 윤리적·법적 노인간호를 실습한다.

통합간호실습Ⅰ(Integrated Nursing PracticumⅠ)

기초적인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핵심기본간호술을 올바른 절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도록 숙련한다.

통합간호실습Ⅱ(ntegrated Nursing Practicum Ⅱ)

다양한 교양 및 전공지식을 근거로 핵심기본간호술과 치료적 의사소통 기술을 간호문제 해결과정에 통합·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응급재해간호학(Emergency disaster Nursing)

여러 양상의 재해 및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기본적인 원리 및 능력을 습득하며 예방에 관한 간호지식을 폭 넓게 이해하여 실무에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종양간호학(Oncology Nursing)

우리나라에서 자주 발생하는 암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암의 치료과정에서 발생하는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파악하여 적합한 간호중재를 수행하기 위한 통합적인 지식과 기술을 학습한다.

간호상담(Nursing Council)

상담의 주요 이론들을 검토하고 상담의 과정과 여러 가지 기법들을 학습하여 효과적인 상담방법을 간호상황에 적용한다.

세계보건정책(Global Health Care & Nursing Policy)

세계 보건 이슈와 간호정책을 분석·평가하여 간호실무에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