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적 특성
[토목공학]이란 산업사회의 기반 시설인 도로, 항만, 교량, 댐, 터널, 지하구조물, 상하수도, 하천정비 등을 비롯한 생산기반시설의 건설과 국토개발에 이르기까지 인간생활에 편리한 시설물을 합리적으로 건설하기 위한 종합적인 건설기술분야에 대한 폭 넓고 깊이있는 기초이론과 전문지식을 교육시켜 산업사회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을 양성하는 학문이다.
관련 산업
[토목산업]은 도로, 항만, 교량, 댐 등을 비롯한 생산기반시설의 건설과 국토개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총 고정자본을 형성하고 사회간접자본시설의 구축을 담당하는 국민경제의 기간산업으로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안전에 꼭 필요한 산업분야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고속도로 37개 2,659Km, 공항 15개소, 댐 1,206개소등을 건설하여 사회간접자본을 확충하여 왔지만 SOC분야의 투자규모는 1990년대의 비약적인 성장이후 감소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최근 4.27 남북정상회담과 6.12 북미정상회담으로 북한지역 SOC분야 개발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성화 방향
[현재 토목관련 학과]는 대부분 사회간접자본시설의 계획 및 설계, 시공에 관련있는 교과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경남과학기술대 토목공학과]는 우리대학 건설환경공과대학의 특성화 목표가 지속가능한 복지도시 건설을 위한 특성화 교육으로, 특성화 세부목표 중 사회안전 대응 특성화 주제가 사회안전확보에 대한 수요증가에 따라 관련 분야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고, 사회안전의 중요성 및 시의성, 안전불감증과 부정적 요인에 대하여 인지하고 취약한 사회안전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는 핵심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학과(전공) 지향점
Ⅰ. 학과비전 | 『지속가능한 복지 도시 건설을 위한 사회 안전 대응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 |
---|---|---|
Ⅱ. 학과 인재상 | ① 창의적인재 | 창의적 사고를 갖춘 |
② 미래형인재 | 미래의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수 있는 능력을 갖춘 | |
③ 윤리적인재 | 사회적, 윤리적 인식을 갖춘 | |
Ⅲ. 학과 교육목표 | 목표Ⅰ, 역량①관련 | 토목공학인으로서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전문 기술능력 육성 |
목표Ⅱ, 역량②관련 | 환경친화적이고, 융합화되는 미래의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능력 육성 | |
목표Ⅲ, 역량③관련 | 사회적, 윤리적 인식을 갖춘 공학 기술 능력 육성 | |
목표Ⅳ, 역량④관련 | 기술자로서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타인과의 공동작업을 의한 협동능력 육성 | |
Ⅳ. 전공 역량 | 역량① 전문 능력을 갖춘 직업윤리성 | 직업 윤리 실천능력을 포함한 토목분야 전문능력 |
역량② 전공지식의 분석 및 타분야와의 융합능력 | 습득한 전공 지식의 이해와 분석을 통한 타 분야와의 창의적 융합 능력 | |
역량③ 사회기여 및 건설분야 경영능력 | 사익과 공익을 고려한 사회 기여와 토목분야의 기관 관리 및 운영 능력 | |
역량④ 실무 적응 및 실천 능력 … | 토목분야의 실무 이해와 적응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발전 가능한 실천 능력 |
토목공학과(전공) 교양 이수권장 교과목
교양선택
핵심교양 권장교과목
영역 | 역사와 철학 | 언어와 문화 | 인간과 사회 | 예술과 체육 | 컴퓨터와 정보활용 | 자연과 과학 |
---|---|---|---|---|---|---|
교과목명 |
|
|
|
|
|
|
학업기초 권장교과목
단과대학 | 과목명 | 비고 |
---|---|---|
건설환경공과대학 | 대학수학 | 학과지정 |
건설환경공과대학 | 물리 및 실험 | 학과지정 |
건설환경공과대학 | 화학 및 실험 | 학과지정 |
균형교양 권장 교과목
- 학문탐색: 토목공학 이야기
- 외국어영역:
- 융복합/자유영역: 사회기반시설의 이해(학과지정), 건설 CAD(학과지정), 공업수학(학과지정)
- 자기개발/취업/인성: 직업과 진로 탐색
교육목표 체계도(Schematic Diagram of Education Objective)

학과연혁
- 1910년대
- 1910. 04. 30 : [진주공립실업고등학교] 설립
- 1940년대
- 1945. 03. 10 : 농업토목과 1학급 신설
- 1945. 08. 31 : [진주농림중학교]로 개칭
- 1950년대
- 1951. 08. 31 : [진주농림전문고등학교]로 개칭
- 1960년대
- 1965. 01. 22 : [진주농림전문고등학교]로 개칭
- 1970년대
- 1976. 03. 08 : 농공과가 농업토목, 농업기계 전공으로 분리 편성
- 1977. 10. 28 : 농업토목 전공을 복수학으로 편성
- 1978. 11. 09 : 농공과가 농업토목으로 개칭
- 1979. 01. 01 : [진주농림전문대학교]로 승격
- 1980년대
- 1985. 06. 09 : 진농 토목과 동문회 창립
- 1990년대
- 1993. 03. 01 : [진주산업대학교]로 승격, 토목공학과로 개칭
- 1999. 11. 02 : 진농 토목과 동문회 창립
- 2000년대
- 2002. 12 : 2002년 전국대학 토목공학 학문 분야 평가 종합우수대학 최우수(학생/교육 성과, 교육여건 및 지원 체재)
- 2003. 08 : 산업대학원 2기 석사학위 수여
- 2004. : 누리
- 2004. 07 : 지방대학 혁신 역량 강화 사업(NURI) 친환경 건설 사업단 선정
- 2004. 08 : 산업대학원 3기 석사학위 수여
- 2009 : 공학인증 시작